세대당 연평균 19만 5천원 지원 동절기 금액 하절기 조기 사용 가능
2023년도 에너지 바우처 사업: 취약계층을 위한 필수 에너지비용 지원(대상자 확인)
오늘은 2023년도 에너지 바우처 사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이 사업은 필수 에너지비용을 지원하여 우리 사회에서 더욱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사업의 목적과 대상, 신청 기간, 그리고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업 목적및 지원내용
에너지 바우처 사업은 취약계층이 필수 에너지비용을 부담하기 어려운 상황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사업은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등유,LPG,연탄등 고지서의 이용금액을 차감하거나 국민행복카드를 발급하여 에너지비용을 결제할 수 있게 합니다.
2. 신청 기간
2023년도 에너지 바우처 사업의 신청·접수는 2023년 5월 31일부터 12월 29일까지 이루어집니다.
하절기 바우처: 2023년 7월1일~ 2023년 9월 30일 방식:전기요금 차감
동절기 바우처: 2023년 10월11일~ 2024년 4월 30일 요금차감 :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중 1개
국민행복카드 : 등유, LPG, 연탄, 전기, 도시가스
3. 신청 대상및 금액
이번 사업의 주 대상은 주거·교육급여 수급가구 중 추위·더위에 민감한 계층입니다. 2022년에 한시적으로 지원 대상에 포함되었던 이들은 2023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기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수급자
※ 주거/교육급여 수급자는 '22년 한시적 지원대상
사회복지 지원 대상자:
- 노인: 주민등록 기준으로 1958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영유아: 주민등록 기준으로 2016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 장애인: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
- 임산부: 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6개 미만인 여성
- 중증질환자, 희귀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
- 한부모가족: "모" 또는 "부"로서 아동인 자녀를 양육하는 사람
- 소년소녀가정: 보건복지부에서 정한 아동분야 지원대상에 해당하는 사람
다양한 사회복지 지원 대상자 기준을 참고하여 사회복지 지원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기준을 충하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세대당 연평균 지원금액은 19.5만 원으로, 하절기에는 4.3만 원, 동절기에는 15.2만 원이 지급됩니다.
에너지 바우처 지원금액
구분 | 1인 세대 | 2인 세대 | 3인 세대 | 4인 이상 세대 |
---|---|---|---|---|
여름 | 31,300원 | 46,400원 | 66,700원 | 95,200원 |
겨울 | 118,500원 | 159,300원 | 225,800원 | 284,400원 |
총액 | 149,800원 | 205,700원 | 292,500원 | 379,600원 |
세대별 에너지 바우처 지원금액에 대한 정보를 통해 에너지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지원금액에 대한 추가 정보와 관련된 질문은 국가정책 안내 콜센터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이용하세요.
4. 신청 절차및 방법
에너지 바우처 절차
신청단계 | 에너지바우처 수급대상자가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 등은 가족, 친척, 법정대리인 또는 공무원이 대리신청 가능 |
선정단계 | 시군구는 복지부의 행복e음(사회보장시스템)을해 대상세대 선정. 세대원수에 따라 지원금액을 산정하여 지급결정 사실을 통보 |
지급단계 | 시군구는 대상세대/지원액 정보를 바우처 발급기관에 전달. 카드사에서 바우 카드 발급 및 배송 |
사용/정산 단계 | 전담기관은 바우처 사용률 제고를 위해 에너지공급자와 협업체계 구축. 바우처 발급기관을 통해 정산 |
사후관리 | 시군구/전담기관(한에너지공단)/에너지공급자 간의 협업을 통해 이의신청 처리. 부정적 사용 모니터링 등 사후관리 실시 |
신청방법
전국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신청 :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사무소, 동 주민센터 방문하여 수급자 본인 또는 대리인 신청
온라인 홈페이지(www.bokjiro.go.kr)에서 신청: (복지로 접속 > 상단 메뉴 중 "서비스 신청" 클릭 > "복지서비스 신청" 클릭 > 에너지바우처 선택)
이 프로세스를 이해하면 에너지 바우처 사업에 대한 이해와 참여가 수월해니다. 에너지 바우처 관련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국가정책 안내 콜센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등에 문의해보세요.
우리 사회의 취약계층에게 필수 에너지비용 지원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생활을 제공하고자 하는 이번 에너지 바우처 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필요한 분들이 이 글을 통해 정보를 얻고, 신청하여 필요한 지원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또 다른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 교통카드로 대중교통비를 절감하고 환경 보호 (0) | 2023.07.05 |
---|---|
전기를 아끼면 돈을 돌려주는 정책 신청하세요 (0) | 2023.06.23 |
미환급금찾기 - 정부24 (0) | 2023.06.08 |
코로나19 확진자 생활지원비2023 (0) | 2023.06.08 |